영화 <바빌론>은 1920년대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영화 산업의 찬란한 이면을 정면으로 그려낸 작품입니다.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광기 어린 혼란 속에서 꿈을 좇는 이들의 욕망, 성공, 몰락이 데이미언 셔젤 감독 특유의 화려한 연출과 음악으로 펼쳐집니다. 브래드 피트, 마고 로비, 디에고 칼바는 각기 다른 시대의 파도를 타는 인물들을 깊이 있게 연기하며, 고전과 현대가 교차하는 강렬한 시네마틱 경험을 선사합니다.
바빌론의 줄거리와 시대 배경
영화는 영화계를 향한 열망을 품은 무명 청년 매니(디에고 칼바), 스타가 되기를 꿈꾸는 넬리(마고 로비), 정상의 배우였던 잭 콘래드(브래드 피트)의 시선을 따라 전개됩니다. 이들이 맞닥뜨리는 할리우드는 꿈과 성공을 약속하는 동시에 냉혹하고 잔인한 현실로 가득 찬 공간입니다.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의 전환은 단지 기술적 진보가 아니라, 사람의 운명을 바꾸는 거대한 흐름으로 묘사되며, 영화는 그 속에서 각 인물이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떻게 무너지는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초반의 대규모 파티 장면은 광란의 시대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명장면으로, 수많은 인물과 에피소드가 에너지 넘치게 교차하며 관객을 영화 속으로 강하게 끌어들입니다. 영화는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하되, 그보다 더 보편적인 인간의 욕망과 상실, 그리고 예술에 대한 집착을 탐색합니다.
1920년대 할리우드의 실제 모습
실제 1920년대 후반의 할리우드는 영화 산업의 황금기였지만, 동시에 유성영화의 도입으로 수많은 스타와 제작진이 도태되던 혼란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바빌론>은 이 시대적 배경을 고증을 넘어, 과장과 환상을 통해 그 시대의 본질적 감정을 전달합니다. 대규모 세트, 화려한 파티, 원시적인 음향 장비와 촬영 방식, 급변하는 스타 시스템 등은 실제 역사적 사실과 허구가 절묘하게 어우러져, 당대의 역동성을 극적으로 증폭시킵니다.
영화 속 캐릭터들은 여러 실존 인물들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창조된 인물들로, 넬리 라로이는 끌라라 보우를, 잭 콘래드는 더글라스 페어뱅크스를 떠올리게 하며, 이들은 모두 영화의 희생자이자 그 찬란한 영광을 경험한 당대의 상징이 됩니다.
데이미언 셔젤의 연출 미학
감독 데이미언 셔젤은 <라라랜드>와는 정반대의 정서를 <바빌론>에서 펼쳐 보입니다. 이 작품은 음악과 카메라 움직임, 편집을 통해 리듬감 넘치면서도 동시에 불편하고 잔혹한 시대의 실상을 마주하게 만듭니다. 파티 장면에서의 롱테이크, 스튜디오에서 유성영화 첫 촬영 시 벌어지는 끔찍한 긴장감은 감독의 시청각 연출 능력이 절정에 이르렀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저스틴 허위츠의 사운드트랙은 시대의 흥분과 감정적 파열을 생생하게 전달하며, 감각적인 재즈 리듬과 전자음이 묘하게 뒤섞인 음악은 영화의 혼란스러운 분위기와 탁월하게 어우러집니다.
마무리 감상
<바빌론>은 단순한 할리우드의 추억이나 오마주를 넘어, 영화라는 매체가 가진 예술성과 폭력성, 그리고 인간의 욕망이 교차하는 장을 과감하게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셔젤 감독은 이를 통해 관객에게 불편한 감정과 아름다움, 광기와 정적을 동시에 전달합니다. 이것은 사랑에 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잊힌 이들에 대한 추모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마지막 시퀀스는 영화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보내는 셔젤 감독의 찬사로, 바빌론은 그 자체로 영화에 바치는 격정적인 러브레터입니다.